프로그래밍 (158) 썸네일형 리스트형 [CDN 서버] CopyStreamException: IOException caught while copying 에러 해결(FTP 파일 전송) FTP로 파일을 CDN 서버나 다른곳에 저장시 아래와 같은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는데.. 해결방법은 어렵기도하고(?) 무척 간단하다.. 해당 서버에 용량을 확보해야한다.. [크롬] 개발자도구 붙여넣기 오류(Don’t paste code into the DevTools Console) 개발중 크롬에 붙여넣기가 안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시면 바로 해결됩니다.allow pasting [스테이블 디퓨전] 인체 신비전 해결하기[얼굴 뭉개짐, 신체 이상] 저같이 초보 같은 경우 스테이블 디퓨전 사용 시 잘못된 옵션 값으로 사람 신체가 이상하게 뭉개지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원인은 간단합니다. 현재 모델의 학습 해상도가 각각 512×512, 1024 ×1024라는 것입니다. 여기서 1024×1024 같이 높은 해상도로 바로 출력할 때 아래의 사진처럼 문제가 발생합니다. 해결 방법은 간단합니다. 512 ×512로 설정한 다음 Hires.fix 기능을 이용하여 이미지 업스케일링을 하면 사람 신체가 이상하게 뽑히는 증상이 많이 없어집니다. 처음부터 맨땅의 헤딩으로 취미로 스테이블 디퓨전을 공부해 보는데 쉽지 않네요 ㅠㅠ [Stable Diffusion]No module 'xformers'. Proceeding without it 에러 해결 스테이블 디퓨전 웹UI 를 런칭하다보면 간혹 xformers 모듈이 잘 안잡히는 경우가 있습니다.Webui 에 드림부스 학습을 시키려면 꼭 필요한 모듈 중 하나인데요,이럴땐 당황하지 마시고, 아래 방법대로 배치파일에 명령어를 주면 됩니다.스테이블 디퓨전 Webui 종료스테이블 디퓨전 설치 폴더에 webui-user.bat 배치파일 우클릭 - 편집커맨드 라인 수정:set COMMANDLINE_ARGS= --reinstall-xformers --medvram --xformers저장합니다. 실행하면 다시 xformers를 재설치합니다. 대부분의 경우 재설치가 완료되며 바로 실행이 됩니다. 스테이블 디퓨전 초기 설정[VAE, Controlnet] 이전에 설치 방법을 다뤘고 스테이블 디퓨전 간단 설치[왕초보도 가능]오늘은 스테이블 디퓨전을 간단하게 설치하는 방법을 소개해 드리고자 합니다 GitHub - AUTOMATIC1111/stable-diffusion-webui: Stable Diffusion web UIStable Diffusion web UI. Contribute to AUTOMATIC1111/stable-diffusion-webui debaessi.tistory.com 이후 설정 방법 입니다. 1. 모델 다운로드아래의 링크 접속 Civitai: The Home of Open-Source Generative AIExplore thousands of high-quality Stable Diffusion & Flux models, sh.. 스테이블 디퓨전 간단 설치[왕초보도 가능] 오늘은 스테이블 디퓨전을 간단하게 설치하는 방법을 소개해 드리고자 합니다 GitHub - AUTOMATIC1111/stable-diffusion-webui: Stable Diffusion web UIStable Diffusion web UI. Contribute to AUTOMATIC1111/stable-diffusion-webui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github.com 처음으로는 버전에 맞는 파이썬을 설치해야 합니다. 링크에 들어가시면 영어가 많아도 당황하시지 마시고 아래의 부분(Automatic Installation on Windows)을 찾아 링크를 클릭합니다. 요새는 대부분 64비트지만 간혹 32비트를 사용하는 컴퓨터도 있으니 본.. 부트스트랩 모달 (bootstrap modal)에서 padding-right 이 계속 생기는 문제 아래와 같이 모달창 사용시 여백이 발생하는 문제가 생김 찾아본 결과 css파일의 body 부분에 아래와 같이 추가로 해결이 된다는데 body { padding-right: 0 !important; } 저같은 경우는 아래의 방법으로 해결했습니다. css 파일에 modal 부분에 다음과 같이 추가 .modal-open { padding-right: 0px !important; } .modal { padding-right: 0px !important; } ㅇ [톰캣] The file is absent or does not have execute permission 에러 해결방법 톰캣 사용시 다음과 같은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원인으로는 파일이 변경된 경우 *.sh 실행 시 실행 권한이 없어서 발생하는 문제였습니다. 우선 아래의 명령어로 bin폴더로 이동합니다. cd ./tomcat/bin 그리고 권한 설정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초기 권한설정이 644로 되어있을텐데 700으로 변경하였습니다. chmod 700 *.sh 그리고 다시 실행해보면 정상작동을 합니다. 이전 1 2 3 4 ··· 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