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아두이노[Arduino]&라즈베리파이[Raspberry Pi]
LTE 외장형 모뎀 아두이노 통신[LTE Cat.M1 WD-N522S]
yohoi
2022. 11. 11. 16:42
안녕하세요 아래의 이전 글에서 간단히 동작 테스트 후 이번엔 아두이노와 연결하여 테스트를 진행해 봅니다.
LTE 외장형 모뎀 통신 테스트[LTE Cat.M1 WD-N522S]
안녕하세요 오늘은 LTE 모듈을 간단히 테스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추후에는 아두이노를 통해 무선통신방식을 구현할 예정입니다. 우선저는 우리넷에 WD-522S 제품을 구매하였고 WD-N400S도 동일하
baessi.tistory.com
자 우선 연결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LTE 외장형 모뎀과 인터페이스 모듈 연결 후 아두이노와 인터페이스 모듈은 다음과 같이 연결합니다.
아두이노 | WD-N522 |
5V | VCC |
GND | GND |
11 | CP1 TX (3) |
10 | CP1 RX (5) |
그리고 아두이노에 다음과 같은 코드를 업로드합니다. (소프트웨어 시리얼 통신 예제입니다.)
LTE 외장형 모뎀의 통신속도는 115200으로 작동합니다.
#include <SoftwareSerial.h>
SoftwareSerial mySerial(10, 11); // RX, TX
void setup() {
// Open serial communications and wait for port to open:
Serial.begin(115200);
while (!Serial) {
; // wait for serial port to connect. Needed for native USB port only
}
// set the data rate for the SoftwareSerial port
mySerial.begin(115200);
}
void loop() { // run over and over
if (mySerial.available()) {
Serial.write(mySerial.read());
}
if (Serial.available()) {
mySerial.write(Serial.read());
}
}
업로드 후 시리얼 모니터에 들어가 정상 작동하는지 확인합니다.
ATI
자 이렇게 다음과 같이 AT 커맨드를 이용하여 LTE 외장형 모뎀을 아두이노와 연결하여 테스트를 진행해 보았습니다.,
다음은 스프링 서버에 HTTP 통신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내용을 다루어 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